이용권 사업안내

관련콘텐츠
스포츠강좌이용권 상담 및 문의

상담시간:월~금 09:00~18:00

점심시간:12:00~13:00

02)410-1298~9

시군구 담당자 연락처

스포츠강좌이용권 대상자 선정 문의

신한카드 고객센터

- 이용권카드발급, 분실신고, 이용안내

-웹가맹점 등록/정산 및 결제금액

1544-7000

스포츠강좌이용권사업

이용권 사업안내 스포츠강좌이용권사업

사업목적

  • 스포츠강좌이용권은 취약계층 유∙청소년의 건전한 여가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 및 국민 행복을 견인하여 스포츠복지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강좌이용권 사업설명

  • 기초생활수급가정 유 ∙ 청소년들에게 스포츠강좌이용권 카드(체크카드)를 지급하여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정 시설 이용 시 강좌비를 일정 부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지사업입니다.

시행주체

  • 사업운영-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사업기획∙재정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사업재원

70% 국민체육진흥기금, 30% 지자체

  • 국민체육진흥기금
  • 지자체

추진경과

  • 2023년 11월스포츠강좌이용권 월 지원금 인상 (9.5만원 → 10만원)
  • 2023년 01월스포츠강좌이용권 월 지원금 인상 (8.5만원 → 9.5만원), 지원기간 확대 (10개월 → 12개월)
  • 2022년 01월스포츠강좌 월 지원금 인상 (8만원 → 8.5만원), 지원기간 확대 (8개월 → 10개월)
  • 2021년 02월온·오프라인 스포츠강좌 수강료 지원, 지원금액 범위 내 복수강자 결제 지원
  • 2020년 01월최소 지원기간 확대 (7개월 → 8개월)
  • 2019년 07월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시범사업 실시(http://dvoucher.kspo.or.kr)
  • 2018년 02월2017년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원사업 성과평과 1위(98.2점)
  • 2017년 03월2016년 국민체육진흥기금 성과평가 결과 우수사업(상위 10%) 선정
  • 2017년 01월스포츠강좌 월 최대 지원금 인상
    (7만원→8만원)
  • 2016년 01월범죄피해 가구 지원 시행으로 지원대상자 확대 ( * 경찰청 협업사업)
  • 2015년 06월저소득층 가구 폭력(가정, 성, 학교)피해 아동 발굴 선제적 지원시스템 구축(경찰청과 협업)
    2015 정부 3.0우수사례 선정)
  • 2015년 01월민법 개정에 따른 연령 변경
    (만5 ~ 19세 -> 만5 ~ 18세)
  • 2014년 12월수혜자격 실시간 확인 시스템 도입 (정부 3.0 공공기관협업과제 Top5 사업 선정)
  • 2013년 01월대상자 연령 확대 (만 7 ~ 19세 -> 만5 ~ 19세)
  • 2012년 06월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을 통한 친서민 정책의 능동적 수행으로 국문총리 기관 표창 수상
  • 2012년 01윌스포츠강좌이용권 월 지원금 인상
    (6만원 -> 7만원)
  • 2011년 08월체육바우처 카드시스템 도입
  • 2009년 03월체육바우처 사업 실시 (만7 ~ 19세)
  • 2007년 10월국민체육진흥공단,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가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발표
  • 2006년 12월서울시정개발연구원, 스포츠 소외계층을 위해 공공시설 24시간 개방과 스포츠 카드 제도도입 제한

업무처리절차

업무처리절차 구조

사업추진실적

사업추진실적 지원인원 2013년 30,000 2014년 30,000 2015년 32,000 2016년 37,000 2017년 43,000 2018년 52,000 기금예산 2013년 110억원 2014년 110억원 2015년 120억원 2016년 140억원 2017년 165억원 2018년 196억원 2019년 215억원 2020년 243억

사업추진실적 지원인원 2014년 30,484 2015년 32,019 2016년 34,483 2017년 40,826 2018년 52,129 2019년 57,088 기금예산 2014년 105억8천4백만원 2015년 117억6천만원 2016년 128억4천8백만원 2017년 173억5천8백만원 2018년 196억원 2019년 215억원 2020년 243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