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06월저소득층 가구 폭력(가정, 성, 학교)피해 아동 발굴 선제적 지원시스템 구축(경찰청과 협업)
2015 정부 3.0우수사례 선정)
2015년 01월민법 개정에 따른 연령 변경
(만5 ~ 19세 -> 만5 ~ 18세)
2014년 12월수혜자격 실시간 확인 시스템 도입 (정부 3.0 공공기관협업과제 Top5 사업 선정)
2013년 01월대상자 연령 확대 (만 7 ~ 19세 -> 만5 ~ 19세)
2012년 06월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을 통한 친서민 정책의 능동적 수행으로 국문총리 기관 표창 수상
2012년 01윌스포츠강좌이용권 월 지원금 인상
(6만원 -> 7만원)
2011년 08월체육바우처 카드시스템 도입
2009년 03월체육바우처 사업 실시 (만7 ~ 19세)
2007년 10월국민체육진흥공단,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가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발표
2006년 12월서울시정개발연구원, 스포츠 소외계층을 위해 공공시설 24시간 개방과 스포츠 카드 제도도입 제한
업무처리절차
스포츠 강좌시설은 스포츠강좌이용권 관리시스템에서 강좌시설 신청/ 대상강좌 등록을 한다.
스포츠강좌이용권 관리시스템에서 지원 신청자에게 지원신청하고 보건복지부에 수급자격 확인, 행정자치부에 인적정보 확인을 하고 기초자치단체에 자격변동 정보알림(일단위)을 알려준다.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지원신청자와 지원대상자에게 지원가능 여부알림(실시간)을 알려주고 카드사에게 대상자선정(지원기간설정)/카드발급요청을 하고 카드사는 지원신청자가 지원 대상자일 때 카드발급을 해준다.
카드를 발급받은 지원 신청자는 스포츠강좌이용권 관리시스템에서 강좌결제하고 스포츠 강좌시설을 통해 강좌수강을 할 수 있다.
스포츠 강좌시설과 카드사는 1차 정산을 하고 카드사와 기초자치단체는 2차 정산을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사업계획 승인을 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광역자체단체에 기금을 교부하고 광역자치단체는 기초자치단체에 기금 광역예산을 교부한다.